본문 바로가기

듀얼모멘텀 전략 (3): 리밸런싱 자동화 엑셀 스프레드시트

Investing Lab 2025. 4. 3.

듀얼모멘텀 전략의 실행을 위해 리밸런싱 및 모니터가 가능한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공유합니다. 위험 자산 선택, 반추기간(Lookback period) 기준 설정, 월말 리밸런싱, 거래 기록 자동화 등 구글 스프레드시트(엑셀) 파일 사용을 위한 설명을 곁들입니다.

 

1. 듀얼모멘텀 전략과 이 스프레드시트의 기능

이 스프레드시트는 듀얼모멘텀 전략(상대 모멘텀 + 절대 모멘텀)의 실행을 돕기 위해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제작되었습니다. 듀얼모멘텀 전략에 대한 백테스트 글에서 소개한, 반추기간(Lookback period)를 여러 개 설정할 수 있고, 위험자산의 유니버스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만들어 보았습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dKz5-PgJUPqkIhs5HgGKdNkCLjYS4CJZLnRu9Yp7F3o/edit?usp=sharing

 

듀얼모멘텀_매매_블로그용

ABCDEFGHIJKLMNOPQRSTUVWXYZ오늘2025-04-03월말 여부FALSE투자원금$10,000위험자산$6,190환율1456.37Lookback적용여부안전자산$3,018미국채3M4.20%1M0현금$109(B1날짜기준)5Y3.95%3M1포트폴리오$9,31710Y4.20%6M1누적수익률-6.83%

docs.google.com

듀얼모멘텀에 대한 이전 글입니다.

https://trendwealthhub.com/entry/gem-strategy-backtest-2014-2025

 

듀얼모멘텀 전략 (2): GEM 공개 이후 백테스트

GEM 전략을 2014년부터 2025년까지 백테스트하여 실제 성과를 분석합니다. 안전자산 및 유니버스 변경, 룩백 기간 조정 등 다양한 수정 버전도 비교하며 듀얼모멘텀 전략의 한계와 개선 가능성을

trendwealthhub.com

듀얼모멘텀 전략과 이 파일에 대해서 간략히 써보자면,

  • 위험자산 유니버스 중 모멘텀이 가장 강한 자산에(상대모멘텀 기준), 절대 모멘텀이 양(+)일 때만 투자
  • 반추기간을 복수로 설정 시, 절대모멘텀이 양인 비중만큼 투자비중 설정
  • 월말 리밸런싱 시 자동으로 매매수량 계산
  • 실시간 ETF 가격 업데이트
  • 실시간 미국채 금리 업데이트

등으로 간략히 요약가능합니다.

2. 파일 구성 및 시트 설명

시트설명입니다.

main 전략 계산의 중심 시트. 투자 비중, 리밸런싱 판단, 필요 매매 수량 계산 포함
raw 2022년부터 ETF 가격 일자별 저장소. Apps Script로 자동 업데이트됨
record 매매 기록 보관. 리밸런싱한 내역을 입력하면 잔고와 수익률 자동 계산
holiday 미국 시장 휴일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월말 영업일 판단에 사용됨

 

3.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항목

google spreadsheet for dual momentum strategy execution and monitoring.
<main 시트>

 

main 시트에서 다음 항목만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설정하시면 됩니다.

  • F4:F7: 각 룩백 기간(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사용 여부 (0 = 미사용, 1 = 사용)
    • 룩백기간을 다양하게 할 수 있지만, 제가 이제껏 해본 백테스트 경험으로는 1,3,6,12개월 정도에서 하나(하나만 선택한다면 12개월) 혹은 여러 개를 선택하는 것이 항상 결과가 좋았던 거 같아서, 룩백기간 설정 옵션을 1,3,6,12개월로 하였습니다. 여러 개 설정할수록 MDD는 작아지고, 연수익률은 조금 손해를 보는 것 같습니다.
  • C10: 안전자산 티커 (예: BIL)
    •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하지 않는 자금은 모두 안전자산에 투자하는데, 이 안전자산을 대변하는 티커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BIL, SHY 등을 입력하면 될 거 같습니다. GEM에서는 AGG를 사용하는데, 이전 글의 백테스트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BIL 등에 비해서는 변동성이 큽니다.
  • D10:Z10: 위험자산 티커 입력 (예: SPY, QQQ, ACWX)
    • 위험자산 유니버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SPY, QQQ, ACWX, SCHF 등등 입력하시면 될 듯 합니다.
  • I1: 투자 원금 입력 (예: $10000)

4. 월말 리밸런싱 방법

리밸런싱은 매월 마지막 영업일에만 수행합니다.

  1. 월말인지 확인
    • Apps Script로 자동 인식됨 (함수: IS_END_OF_MONTH_BUSINESS_DAY). 
  2. 가격 업데이트
    • 상단 메뉴 “📊 듀얼모멘텀 > 🔄 가격 업데이트” 클릭
    • 파일을 열면 가격 업데이트를 한번 수행해 주면 raw 시트에 가격이 업데이트되어 기록됩니다.
  3. 필요 매매 수량 확인 
    • 월말에는 리밸런싱 작업을 해야 하는데, 상대모멘텀, 절대모멘텀 등이 알아서 계산되고, 어떤 자산을 어떤 비중으로 사야 할지가 표시됩니다.
    • main 시트의 C57:Z57에 각 자산별 매수/매도 수량이 표시되므로, 이 수량대로 매매를 수행하면 됩니다.
  4. 리밸런싱 매매 실행 후 기록
    • record 시트에 매매일, 티커, 수량, 단가, 매수/매도 구분하여 입력하면, 그다음 날부터 포트폴리오 가치를 알아서 계산하여 시트에 보여줍니다.

5. 평소 사용하는 방법 및 데이터 확인

  • 평일에는 시트 확인용으로만 사용
    월말이 아닌 경우에는 가격 업데이트만 수행하여 누적 수익률, 자산 평가금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pps Script 기능
    • 모든 ETF 가격은 Yahoo Finance API를 통해 불러옴
    • 필요시 “📊 듀얼모멘텀 > 종가 전체 초기화” 기능으로 과거 전체 데이터 재설정 가능

6. 주의사항 및 활용 팁

  • 입력할 수 있는 셀 이외에는 건드릴 필요가 없습니다.
  • 리밸런싱 후에는 record 시트에 반드시 기록해야 자산 평가가 반영됩니다.
  • 티커는 Yahoo Finance 기준 티커를 사용해야 합니다 (SPY, QQQ, BIL, ACWX 등).
  • 실거래에 적용 시에는 매매 수수료, 세금 등을 따로 고려해야 합니다.

7. 다운로드 및 복사 링크 안내

🔗 시트 링크 (읽기 전용):

스프레드시트 열기

📋 복사해서 사용하고 싶다면?

해당 링크에 접속 후

파일 > 사본 만들기 클릭하여 본인 Google Drive에 저장 후 자유롭게 사용하세요.

마무리

이 스프레드시트는 듀얼모멘텀 전략을 직관적이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적용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밸런싱 시기를 놓치지 않고, 수익률과 기록까지 꼼꼼히 추적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 관리를 정교하게 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참고해서 개인화된 파일을 만드셔도 좋을 거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