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듀얼모멘텀 전략 (1) : GEM 전략을 중심으로

Investing Lab 2025. 4. 1.


 글로벌 주식 듀얼모멘텀(GEM) 전략에 대해 상세히 소개합니다. 상대모멘텀과 절대모멘텀 개념부터 원본 성과지표, 적용 방식까지 핵심을 요약하며, 다양한 파생 전략의 개념도 개략적으로 다룹니다.

1. 글을 쓰게 된 계기

'모멘텀(Momentum)'이라는 용어는 많은 투자자들이 익숙하게 알고 있습니다. 오르는 자산은 더 오르고, 빠지는 자산은 더 빠진다라고 한마디로 요약할 수 있죠.  하지만 상대모멘텀(Relative Momentum), 절대모멘텀(Absolute Momentum)이라는 개념은 조금 낯설 수 있습니다. 이는 개리 안토나치(Gary Antonacci)의 논문에서 구조화된 용어로 제시되었고, 이후 『Dual Momentum Investing』이라는 책을 통해 널리 퍼지게 되었습니다.

이 전략의 핵심은 단순하지만 강력합니다. 듀얼모멘텀 전략은 다양한 자산군,  주식, ETF에 적용 하느냐에 따라 많은 버전이 있습니다. 모멘텀 측정 기준, 룩백 기간, 투자 비중 등등의 인자들에 따라 전략의 성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런 다양한 변형 전략들을 정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앞서 원형인 GEM(글로벌 주식 모멘텀) 전략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GEM 전략을 중심으로 듀얼모멘텀의 핵심 구조를 설명하고, 책 기반의 백테스트 결과 및 시사점을 소개하겠습니다. 후반부에는 다양한 개량/수정 버전의 전략들도 개략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듀얼 모멘텀 창시자 Gary Antonacci의 홈페이지에도 읽을만한 거리가 많이 있습니다.

https://www.optimalmomentum.com/

 

Optimal Momentum - Momentum means persistence in performance

Optimal Momentum Investing Presenting research and applications of dual momentum investing as discoveredby its founder Gary Antonacci, author of the book Dual Momentum Investing About Optimal

www.optimalmomentum.com

2. 듀얼모멘텀 핵심 개념: 상대모멘텀과 절대모멘텀

듀얼모멘텀 전략의 핵심은 상대모멘텀과 절대 모멘텀입니다. 먼저 개념설명을 하자면,

🔹 상대모멘텀(Relative Momentum)

여러 자산군 중 최근 특정 기간 동안의 성과가 더 우수한 자산을 선택합니다. 예컨대 미국 주식(S&P500)과 글로벌 주식(ACWI ex-US) 중 최근 12개월 수익률이 더 높은 쪽을 고르는 방식입니다.

🔹 절대모멘텀(Absolute Momentum)

선택된 자산의 최근 특정 기간의 수익률이 안전자산의 수익률 대비 어떤지를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해당 자산의 안전자산 대비 12개월 초과수익률이 0 이상이면 투자하고, 그렇지 않으면 안전자산(예: 단기채, 현금성 ETF)을 투자합니다.

🔹 듀얼모멘텀(Dual Momentum)

상대 모멘텀 기준으로 가장 우월한 자산을, 절대 모멘텀이 있을 때만 투자하고, 아닌 경우에는 안전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듀얼 모멘텀입니다. 

과거 성과를 계산하는 기준기간(Lookback Period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함), 기준기간이 하나인지 여러 개인지, 여러 개일 경우 모멘텀 수치 계산을 어떻게 할 것인지 등 세부적으로 보면 전략의 상세사항은 달라질 수 있겠지만, 핵심은 "상대 모멘텀이 제일 큰 자산을 절대 모멘텀이 있을 때만 투자한다"는 것입니다.

3. GEM(Global Equity Momentum) 전략 개요

📘 GEM 전략은 개리 안토나치의 책 Dual Momentum Investing(듀얼모멘텀 투자 전략)에서 제안되었습니다. 본 전략은 3개의 자산군을 기준으로 선택합니다:

  • 미국 주식 (S&P 500) : 티커 SPY
  • 글로벌 주식 ex-US (MSCI ACWI ex-US): 티커 ACWX
  • 미국 종합 채권지수: 바클레이즈 미국 종합채권지수는 평균만기가 5년 미만, 고품질, 투자적격등급 채권들로 구성된 지수. 티커 AGG

매월 말:

  1. S&P500 vs ACWI ex-US의 상대모멘텀을 평가
  2. 더 수익률이 높은 쪽 선택
  3. 단, 선택된 자산의 12개월 수익률이 무위험자산(안전자산)보다 낮으면 → AGG 매수

이와 같이 매월말에 모멘텀을 평가하여 리밸런싱하는 단순한 전략입니다. 

4. 듀얼모멘텀 성과표 (1974~2013년)

표의 수치는 개리 안토나치의 『듀얼모멘텀 투자전략』 책에서 가져왔습니다.

구분 GEM 상대모멘텀 절대모멘텀 ACWI ACWI+미국종합채권지수
연간 수익률(%) 17.43 14.41 12.66 8.85 9.80
연간 표준편차(%) 12.64 16.20 11.93 15.56 11.37
연간 샤프지수 0.87 0.52 0.57 0.22 0.36
MDD(%) -17.84 -53.06 -23.76 -60.21 -45.74
  • ACWI + 미국 종합채권지수: ACWI 70% + 미국 종합채권지수 30%
  • "상대모멘텀": SPY, ACWI에 상대모멘텀만 적용한 전략
  • "절대모멘텀": ACWI에 절대모멘텀만 적용한 전략

40년 동안  17.4%의 높은 연간 수익률과 -18% 정도의 MDD(월간 데이터 이용했기 때문에 어느 정도 과소 계상 가능성 있으므로 실제는 5~10% 정도 더 크다고 생각하는 것이 합리적)인데, 이 단순한 전략이 이 정도의 개선을 보여 준다는 것에서 상당히 훌륭한 전략임을 알 수 있습니다. 

책에 나오는 10년 단위로 쪼갠 수치를 봐도, 단순한 매수 후 보유 전략이나 단순한 7:3 자산배분 전략, 한 가지 모멘텀만 적용한 전략들에 비해, 우수한 성과를 보여줍니다.

그런데.. 과연 논문, 책이 발표되고 난 후인 2014년부터는 어떻게 됐는지 궁금해지죠? 아까 소개드린 optimalmomentum.com 사이트에도 최신 수익률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ortfoliovisualizer.com에서도 쉽게 듀얼모멘텀을 적용해서 테스트해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portfoliovisualizer.com/

5. 다양한 파생 듀얼모멘텀 전략 소개

듀얼모멘텀을 검색하면 변형버전이 여러 개 소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AI에게 듀얼모멘텀 전략의 개량/수정 버전을 정리해 달라 했더니 아래와 같이 표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한번 참고해 보시죠.

전략 이름 주요 특징 자산 유니버스 특이점/차별성
Accelerating Momentum 3/6/12개월 수익률 가중평균 주식, ETF 다양한 시점의 모멘텀 반영하여 추세 가속 고려
Sector Rotation Dual Momentum 업종 ETF 중 상대우위 선택 + 절대모멘텀 필터 S&P 업종 ETF 시장 내 섹터별 로테이션 전략
Equal Weight Dual Momentum 동일 비중 분산 투자 기반 듀얼모멘텀 다양한 주식 ETF 자산 비중 균형 강조
Trend-Following Momentum 절대모멘텀 기반 추세추종 전략 광범위한 자산군 기술적 분석 기법 연계 가능
Volatility-Adjusted Dual Momentum 모멘텀과 변동성 통합 조정 주식, 채권, ETF 낮은 변동성 자산 선호 성향
GEM Lite GEM 단순화 버전 (ETF 2~3개 구성) SPY, ACWX, BIL 실전 투자자용 간편 운용
Adaptive Dual Momentum 룩백 기간 및 필터 조건을 유동적으로 조정 주식 ETF 시장 상황 적응형 구조

 

이 글에서 하나하나 다 다루진 못하고, 추후에 관련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6. 마무리: 전략 적용을 위한 제언

GEM 전략은 단순하지만 강력하며, 실제 포트폴리오에 적용하기도 매우 쉽습니다. 한 달에 한번 모멘텀을 계산하고, 자산군 변경이 있을 때만 매매하면 되죠. 실제로 매매는 1년에 2번도 안될 듯합니다.

가장 큰 장점은 동적 자산 배분으로 수익률도 끌어올리면서,  절대모멘텀을 도입한 덕분에 하락장에서 기계적으로 회피가 가능하기 때문에 속이 편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투자에 적용하기 전에, 과연 전략이 여전히 유효한지, 더 개선할 수는 없는지 등등을 테스트해 봐야겠죠?

다음 글에서는 책 발간 이후부터의 실제 백테스트 및 변형 전략들을 다루며 이해를 더 깊게 해 볼 생각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