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A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가이드: Google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자산배분 자동화
Google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하여 LAA 자산배분 전략을 리밸런싱 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소개합니다. ETF 가격 자동 수집, 실업률 기반 GT 타이밍 신호, 연간/월간 리밸런싱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템플릿도 제공합니다.
장기투자자에게 안정적인 성과를 제공하는 Lethargic Asset Allocation(LAA) 전략은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자산배분 전략입니다. 하지만 실제 운용을 위해서는 매월 보유해야 하는 ETF를 판단하고, 연간 리밸런싱도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하죠.
파일을 직접 만들기 힘들어하실 수도 있는 분들을 위해서 간단하게 파일을 만들어 봤습니다. 파일 바탕으로 추가적인 기능을 넣으시면 될 거 같아요.
사용하는 템플릿 소개
LAA 전략은 단순하면서도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여주는 전략입니다.
아직 LAA 전략의 개념이나, 최근까지의 실제 백테스트 결과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https://trendwealthhub.com/entry/lethargic-asset-allocation-vs-60-40
LAA 전략 완벽 분석: 전통적 60:40 전략을 넘는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자산 배분 전략은 장기적인 투자 성과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앞서 소개한 주식:채권 60:40 비율의 투자는 전통적인 정적 자산배분 전략입니다. 정적 자산배분에 약간의 동적인 측면을 가
trendwealthhub.com
아래는 LAA 전략의 리밸런싱을 위한 구글 스프레드시트 파일입니다.
✅ 읽기 전용 템플릿 보기
LAA 전략 구글 시트 (읽기 전용)
LAA전략_리밸런싱
ABCDEFGHIJKLMNOPQRSTUVWXYZ오늘 날짜2025-03-29리밸런싱 타입연간환율$1,467.60포트폴리오 가치$10,543연간 리밸런싱 실행 월3티커설명목표비중현재가기보유수량잔고현재비중목표수량필요 매매고정 자산IWD
docs.google.com
이 시트는 하나의 시트(매매계산)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안에서 LAA 전략의 핵심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리밸런싱 방식 요약
리밸런싱은 월간 리밸런싱과 연간 리밸런싱 두 가지가 있습니다. 영구히 보유하는 3가지 자산(IWD, GLD, IEF)은 1년에 한 번만 정해진 시점에 리밸런싱 합니다. QQQ(위험자산)와 SHY(안전자산) 중 어떤 자산을 편입할 지는 매월 시행하는 월간 리밸런싱입니다.
- 월간 리밸런싱 (매월 말): QQQ ↔ SHY 중 하나를 선택해 포트폴리오에 편입
- 연간 리밸런싱 (매년 3월, 다른 달도 가능): IWD, GLD, IEF, 타이밍 자산의 비중을 각각 25%가 되게 조정
매월 말일에 시트를 열면 날짜 기준으로 자동 판별하여 ‘연간’ 또는 ‘월간’ 리밸런싱 여부를 E1 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실업률 데이터 자동 수집
매매계산 시트의 A28, B28 셀에는 FRED에서 실업률 데이터를 자동으로 불러오는 함수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INDEX(SORT(IMPORTDATA("https://fred.stlouisfed.org/graph/fredgraph.csv?id=UNRATE"),1,FALSE), ,1)
- 29행 아래로 매월 둘째주 금요일에 발표되는 실업률이 자동 표시되고, 12개월 평균값도 자동 계산됩니다.
3. GT 타이밍 조건 계산
월간 리밸런싱 때, 위험자산(QQQ) 혹은 안전자산(SHY) 중 어떤 자산을 택해야 하는지 판별하기 위해서, 시트에서는 다음의 조건을 판단하여 Risk-On 또는 Risk-Off 상태를 자동으로 판별합니다:
- B17: 실업률 > 12개월 평균 → TRUE/FALSE
- B21: SPY 현재가 < 10개월(200일) 이동평균 → TRUE/FALSE
- B15: 두 조건이 모두 TRUE이면 SHY, 아니면 QQQ를 선택
이때 사용되는 SPY 데이터는 GOOGLEFINANCE로 실시간 가져옵니다:
=GOOGLEFINANCE("SPY", "price")
10개월 평균(200일 이동평균으로 계산)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구해집니다:
=AVERAGE(INDEX(GOOGLEFINANCE("SPY", "all", WORKDAY(TODAY(), -200), TODAY()), ,3))
4. 리밸런싱 계산 방식
ETF별 목표 비중 및 현재 보유 수량을 기준으로 필요한 매수/매도 수량을 계산합니다. 7행 IWD를 예로 들어보면,
- G7: 현재가 × 보유수량 → 현재 평가금액(잔고)
- H7: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해당 ETF가 차지하는 비중
- I7: 리밸런싱 목표 수량
- J7: 실제 필요한 매매 수량
이 정보만 확인하면 월말 혹은 3월 말 리밸런싱 시점에 어떤 자산을 몇 주 매수/매도할지 알 수 있습니다.
특히 QQQ/SHY 전환 ETF의 경우 연간리밸런싱 시점이 아닌 월말 리밸런싱인 경우, 기준에 맞춰 자산 규모를 계산합니다.
5. 실전 사용 시 유의사항
- 리밸런싱은 매월 말에 시트를 열어 확인하고 매매를 실행하면 됩니다.
- 실제 필요 매매를 수행한 후에는 ‘기보유수량’ 칸을 수동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 소수점 단위 ETF 매매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비율을 맞출 수는 없습니다.
- 매매 기록 기능은 별도로 구현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익 추적은 별도 기록이 필요합니다.
이 시트의 핵심은 GT 타이밍과 실업률/ETF 데이터를 자동으로 불러와 누구나 손쉽게 LAA 리밸런싱 전략을 구현할 수 있도록 예시를 보여주는 데 있습니다. 이 파일을 직접 이용해도 좋고, 더 취향에 맞게 바꿔서 쓰시면 될 거 같습니다.
마무리: 자산배분 리밸런싱 계산 예시
LAA 전략은 단순한 데다가, 복잡한 툴 없이도, Google 스프레드시트 하나면 LAA 전략을 손쉽게 실현할 수 있습니다. 실업률 데이터와 ETF 가격이 자동으로 연동되고, 조건 판단과 매매 제안이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링크의 파일을 만들었으니, 니즈에 맞게 더 가공해서 쓰시면 될 거 같습니다.
📥 템플릿 바로가기 (읽기 전용):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krC7JyZvyp0pHjP55cQHNJvVWrPNX_ktxxRDlR1u9vA/edit?usp=sharing
LAA전략_리밸런싱
ABCDEFGHIJKLMNOPQRSTUVWXYZ오늘 날짜2025-03-29리밸런싱 타입연간환율$1,467.60포트폴리오 가치$10,543연간 리밸런싱 실행 월3티커설명목표비중현재가기보유수량잔고현재비중목표수량필요 매매고정 자산IWD
docs.google.com
댓글